안녕하세요~~ 플레이보트입니다~~!!!
모터보트도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배터리를 이용해서
엔진의 시동을 걸고 와이퍼나 각종 전등 등 필요한 전기를 사용합니다.
예전에는 보통 30피트 미만의 레저보트에서는
용량의 차이는 있지만 보트 한대당 배터리 하나씩 장착되었습니다.
그러나 전기 사용량이 많은 요즘은 메인 배터리 하나, 보조 배터리 하나
총 2대의 배터리를 장착하는 추세입니다.
혹시나 모를 배터리 방전에 대비하기 위해서죠.
오늘은 대표적인 하우스 보트인 야마하 FR 25에 배터리를 추가 장착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시면 빨간 점이 찍혀져 있는 곳이 기존의 메인 베터리함입니다.
현재는 한개의 배터리로 운영되고 있죠.
메인 배터리함의 안을 보면 한개의 배터리와 셀렉터 스위치가 있습니다.
배터리 셀렉터 스위치(Battery Selector Switch)는 기존의 ON/OFF 방식에서
한차원 업그레이드 된 방식의 4way 포지션 스위치 입니다.
OFF / 1 / 2 / 1+2
총 4가지를 선택해 고를 수 있는데요.
OFF는 배터리에서 보트로 가는 전원을 모두 차단해 배터리 방전을 예방합니다.
1은 연결 되어 있는 메인 배터리의 전기만 사용하고
2는 연력 되어 있는 보조 배터리의 전기만 사용합니다.
가장 중요한 1+2는 어느 한쪽 배터리의 전기가 부족해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메인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연결해 전기량을 올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자동차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흔히 말하는 '배터리 점프'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배터리가 2개로 장착 되어 있는 보트는 주로 이 배터리 셀렉터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기존의 메인 배터리(빨간원)에 보조 배터리(파란원)을 추가합니다.
파란원이 있는 함에 보조 배터리를 놓고 전선을 연결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이해가 조금 쉬우실 겁니다.
바다에 나가 낚시를 하는 동안 시동을 꺼두었는데
갑자기 방전 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때를 보조 배터리와 배터리 셀렉터 스위치만 있으면
방전으로 인한 시동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겠죠.
특히 요즘 같이 전자기기를 많이 사용하는 시대에는
보조 배터리와 배터리 셀렉터 스위치는 선택이 아닌 필수 입니다.
바다 낚시도 좋지만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배터리 셀렉터 스위치 & 추가 배터리 장착도 역시!!
플레이보트!!! 입니다.
'플레이보트 이야기 > 보트정비 및 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트정비] 야마하 UF33 선실 창틀 도색 (0) | 2016.02.16 |
---|---|
[보트정비] 선외기 2사이클(스트로크) 엔진 시동걸기 - 초크(CHOKE)의 중요성 (0) | 2016.02.03 |
[보트정비] 세일보트 실내등 LED 전구 교체 (0) | 2016.01.21 |
[보트정비] 야마하 모터 보트 환풍구 교체 (2) | 2016.01.16 |
[보트정비] 야마하 FR 25 와이퍼 교체 (0) | 2016.01.15 |
[보트정비] 야마하 FR 25 트랜섬 애노드(ANODE) 교체 (0) | 2016.01.11 |
[보트정비] 야마하 FR 25 하부 클리닝 & AF 도색 (0) | 2016.01.10 |
[보트정비] 항해등, 정박등 LED 전구 교체 (0) | 2015.11.07 |
[보트정비] 모터보트 바우 스피릿 장착 (0) | 2015.11.05 |
[보트정비] 연료 게이지 장착, 마린 화장실 수리 - 모터보트 리모델링 (0) | 2015.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