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플레이보트입니다.
요즘 같은 겨울이면 시동 문제로 문의전화가 많이 오는데요.
그 대부분은 추위에 약한 배터리가 방전되어
이로 인해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보트나 요트에서도
12~24V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동차는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든
해당 보험회사에 전화해 출동차량을 기다리면 금방 해결이 되지만
보트의 경우 해상이라면 여간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죠.
(해상에서 해결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 드릴게요^^)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에는 낮은 기온에 약한 배터리의 시동능력으로
시동이 잘 걸리지 않으며
그리고 요즘은 GPS나 어군탐지기, 써치라이트, 앵커모터등
각종 전자기기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도 하나의 원인입니다.
[보트나 요트의 겨울철 배터리 방전 예방하는 방법(대비책)]
1. 예비 배터리를 항상 가지고 다닙니다.
물론 해상에서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경우
해양경찰(신고번호 122)에 연락하시면
해양경찰에서 안전한 장소까지 견인을 해주지만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습니다.
예비 배터리와 점프선만 있으면 일시적으로 시동은 걸 수 있어
만약의 사고에 대비 할 수 있습니다.
2. 메인 배터리 외 보조 배터리를 추가로 설치합니다.
요즘에 보트 오너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방법으로
보조(예비) 배터리를 미리 설치해두고
배터리 셀렉터를 이용해 메인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를 선택해서
사용하고 위급한 상황에서는 점프(1+2, BOTH)도 셀렉터 버튼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셀렉터와 보조 배터리에 대해서는 지난번에 포스팅을
보시면 더욱 쉽게 이해하실겁니다^^
[야마하 모터보트 배터리 설렉터 스위치 & 보조 배터리 장착] 포스팅 보기
3. 누전을 막기 위해 배터리에 메인 스위치를 반드시 장착합니다.
메인 스위치를 장착만으로도 미세하게 세어나가는
전력을 막을 수 있습니다.
4. 배터리 교환주기를 지켜 미리 배터리를 교체해주세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교체주기는 2~3년 정도 인데요.
배터리에 교환한 날짜를 메모해두고
교체시기가 다가오면 미리 교체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5. 배터리 터미널을 깨끗히 청소합니다.
배터리 단자와 터미널 사이에 녹이나 하얀 가루등 이물질이 생기면
접촉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배터리 터미널을 교체하거나
깨끗하게 청소해서 다시 장착합니다.
혹시 바다 한가운데서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당황하시거나 무리하게 시동을 걸려고 하시지 마시고
우선 앵커를 내려 보트가 더이상 이동을 하지 못하게 하고
해양경찰(신고번호 122)에 연락하셔서 도움을 요청하세요~
배터리는 낮은 온도에 약하기 때문에
추운 겨울에 대비하고 미리 점검 하셔서
배터리 방전으로 불편함을 겪는 일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보트 정보는 역시~~^^
플레이보트!!
'플레이보트 이야기 > 보트정비 및 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트정비] 야마하 60마력(2스트로크) 선외기 엔진 점화플러그 교체 (0) | 2017.05.13 |
---|---|
[보트정비] 야마하 선외기 솔라스(SOLAS) 프로펠러 교체, 교체 방법 (0) | 2017.04.29 |
[보트정비] 야마하 레저보트 자연 배수구 교체 (0) | 2017.04.13 |
[보트정비] 볼보 200마력 디젤엔진 하부 드라이브 아노드 교체 (0) | 2017.01.22 |
[보트튜닝] 야마하 스피드 보트 SRV21 선체 광택 & 윈드쉴드 장착 (0) | 2017.01.17 |
[보트정비] 야마하 선외기 엔진 스케그 보호대 장착 (5) | 2017.01.05 |
[보트정비] 야마하 선외기 엔진 트림탭 아노드 교체 (0) | 2016.12.20 |
[보트튜닝] 샘록 260 파일럿 하우스 LED 데크등 설치 (0) | 2016.11.30 |
[보트수리] 레저 모터 보트 자연 순환식 어창 마개 교체 (1) | 2016.11.22 |
[보트정비] 야마하 레저 보트 FR27 엔진룸 경첩 교체 (0) | 2016.11.19 |